-
주린이 탈출기(3) - 공모주 유튜버 찾기금융 2021. 12. 2. 20:23반응형
https://kbkb456.tistory.com/80
주린이 탈출기(2) - 증권계좌 여러개 만들고 편하게 관리하기(feat 토스)
https://kbkb456.tistory.com/79 주린이 탈출기(1) - 공모주 청약에 도전해보자 나는 기본적으로 주식을 잘 못한다. 어떤 주식을 해야 높은 수익을 얻는지도 잘 모르고 2~3년 이상 종목을 들고 있는 장기투
kbkb456.tistory.com
통장과 토스가 세팅이 되었다면 정보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기업이 언제 어디 주관사에서 상장을 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유튜버로 정보를 찾으면 편하다.
물론 내가 알아보는 것도 있지만 기업분석 & 기관 청약 결과 등을 영상으로 올려서 내가 청약을 해야 되는지 안 해도 되는지에 대한 판단을 하기에 도움을 주는 유튜버들이 있다. (그래도 투자는 개인의 책임이다.)
아래 4명의 유튜버를 주로 본다.- 공모주린이: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기관 의무보유 확약, 가격분포 등을 보기 위함
- 기릿의 주식노트: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기관 의무보유 확약, 가격분포 등을 보기 위함
- 소유보다 경험 아이언 / 공모주: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기관 의무보유 확약, 가격분포 등을 보기 위함
- 돈버방: 2분 요약 개꿀
여러 유튜버들을 확인을 하고 같은 방향으로 이야기하면 보통 잘 먹는 것 같다. (물론 경쟁률이 세서 크게 먹진 못한다.)
또 이런 유튜버들을 보면 좋은게 청약 당일이다. 옛날에는 공모주가 한 사람이 여러 개 좌로 청약이 가능했다고 했는데 내가 했던 카카오 뱅크는 1인 1 계좌 밖에 청약이 안되었다. 그래서 어디 증권사에 할지 눈치 싸움을 해야만 했다.
이럴 때 실시간으로 경쟁률을 보여주며 내가 어디로 가면 유리한지에 대해서 알려준다.
기관 의무보유확약?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공모를 진행할 때,
- 일반적으로는 기관투자자 -> 개인투자자 순으로 청약이 진행이 되고 기관투자자들의 동향을 보고 청약을 할지 말지 결정할 수 있음
- 대부분 우리사주 20%, 일반청약자 20% 이상, 기관투자자 50% 이상으로 기관투자자에게 가장 많은 물량이 배정
1. 기관 의무보유확약이란?
기관 투자자가 50%이상의 물량을 받는 대신 우리 이때까지는 매도 안 할 거예요~라고 약속하는 물량이다. 초기 상장 때 물량이 많은 기관이 한 번에 다 던진다면 주가가 하락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시그널일 것이다. 그래서 최대한 의무보유확약 비중이 크고 기간(15일, 1개월, 3개월, 6개월 등)이 긴 곳에 청약을 넣으면 좋다.
2. 수요예측 경쟁률이란?
기관 청약의 가장 큰 특징은 가장 큰 특징은 공모희망가격만 정해져 있을 뿐 정확한 공모 가격이 정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수요예측(Book Building)이 이루어진다는 점, 즉 공모가 밴드를 오버해도 되고 낮게 해도 된다는 것이다. 실제 공모가는 개인 투자자가 청약할 때 정해진다. 이럴 때 기관들이 해당 상장사에 얼마나 몰렸는지를 보여주는 게 수요예측 경쟁률이다.
- 경쟁률은 일반적으로 높은게 좋다.
- 기관들이 공모가를 써낸 가격대를 알 수 있는데 높은 가격대를 쓴 기관의 비중이 높을수록 좋다.
2022년에는 어떤 공모주가 기다리고 있을까??
출처: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1/12/1111837/ 나는 해당 공모주는 전부 청약을 넣을 생각이다.
다들 소소하게 모아서 큰 부자는 될 수 없지만 그래도 저녁값, 점심값정도는 벌어갈 수 있는 것 같다. 모두 파이팅이다.
반응형'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 탈출기(5) - 2021년 공모주 결산(얼마나 벌었을까?) (0) 2022.01.02 주린이 탈출기(4) - 파킹통장 만들기(토스뱅크, ok 저축은행) (0) 2021.12.17 주린이 탈출기(2) - 증권계좌 여러개 만들고 편하게 관리하기(feat 토스) (0) 2021.11.27 주린이 탈출기(1) - 공모주 청약에 도전해보자 (0) 2021.11.27 2021년 신용점수제 도입 (0) 2021.01.06